조(趙)나라의 명장 조사(趙奢)는 아들 조괄(趙括)을 좀체 칭찬하는 법이 없었다.

모두들 병법은 조괄을 당할 사람이 없다고들 하는 터였다.

답답해진 그의 아내가 연유를 물었다. 조사가 말했다.

"군대는 죽는 곳인데 저 아이는 너무 쉽게 말을 하오.

조나라가 저 아이를 장수로 삼는다면 조나라 군대를 무너뜨릴 자는 반드시 저 아이일 것이오.

" 훗날 조나라 왕이 진(秦)나라와의 전투에서 싸울 생각을 않고 성을 지키고만 있던

노장 염파(廉頗)를 빼고 젊은 조괄을 투입하려 했다.

그러자 그 어미가 안 된다며 막고 나섰다.

왕이 이유를 묻자, 대답이 이랬다.

그 아비는 상을 받으면 아랫사람들에게 모두 나눠주었고,

명을 받으면 집안일을 묻지 않고 떠났는데,

아들은 왕에게 하사금을 받으면 집에 간직해두고 좋은 밭과 집 살 궁리만 하니,

부자의 마음가짐이 같지 않다고 했다.

그래도 왕이 번복하지 않자,

그렇다면 아들이 실패하더라도 자신을 연좌시키지 말라고 했다.

어미의 말인데 참 모질고 매섭다.

 경솔했던 조괄은 우쭐해서 그날로 진나라 총공격에 나섰다가,

계략에 말려 조나라 40만 대군을 하루아침에 모두 잃었다.

 

이른바 지상담병(紙上談兵),

즉 종이 위에서 병법을 논한다는 말은 이론만 능하고 실전에 약한 병통을 꼬집어 하는 말이다.

탁상공론(卓上空論)과 같다.

사람들은 노장 염파의 경륜보다 조괄의 화끈함을 좋아한다.

문제는 늘 이 지점에서 생긴다.

내는 문제마다 거침없이 척척 대답했던 아들 조괄을 아버지 조사가 끝내 인정하지 않았던 까닭이다.

 

'마음의 양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쌍산재의 철학  (0) 2009.11.09
모과가 향기나는 이유는?  (0) 2009.11.08
산악인 오은선  (0) 2009.10.31
마케팅 전략(홍성태교수)  (0) 2009.10.31
마법의 지갑  (0) 2009.08.12

+ Recent posts